[경북도민방송=손중모 기자]예천군 예천박물관은 27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예천 의성 김씨 남악종택˝사시찬요˝의 가치와 의의`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사시찬요˝는 중국 당나라 말기 시인 한악(韓鄂)이 996년에 편찬한 농서로, 세종 대 ˝농사직설˝이 편찬되기 전까지 우리나라 농사의 지침으로 활용된 책이다.이번 학술대회는 조선시대 최초의 금속활자인 계미자(癸未字)로 간행된˝사시찬요˝의 인쇄문화사적, 역사적,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사시찬요˝에 사용된 활자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금속활자인쇄 초기 인본들과의 관련성을 고증하고 비교‧분석했다.특히, ˝사시찬요˝를 자연적 질서 속에서 살아가는 생활 지침서로서 민속학적으로 검토하고, 계미자본 ˝사시찬요˝의 농업기술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 농서들과의 상호 영향을 추적‧분석했다.이와 함께 한국 과학사 및 술수문화사에서 계미자본 ˝사시찬요˝가 지니는 위상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등 기존 연구를 확장하는 계기가 됐다.김학동 예천군수는 “이번 학술대회는 예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계미자본˝사시찬요˝의 우수성을 재확인하고, 여덟 명 연구자의 심도 있는 학술적 고찰과 토론을 통해 그 가치를 제고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아울러 “절기의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 온 조상들의 지혜와 예천 지역 문화유산의 탁월함도 확인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