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박윤정 기자]경상북도 자치경찰위원회가 8일 도청 회의실에서 ‘경북 맞춤형 치안행정 모델 개발’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보고회는 경북형 자치경찰의 밑그림을 그리기 위해 진행된 연구용역의 최종 결과물을 공유하고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 자리로, 자치경찰위원, 경북경찰청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했다.먼저, 용역 수행기관인 한국지방자치경찰정책연구원은 전국 치안여건의 변화로 살펴본 경북의 치안수요를 전망하고, 시․군별 치안여건 및 현황 등을 지리정보시스템 분석을 기반으로 시각화해 제시했다.이를 통해‘함께 만들어가는 모두가 안전한 경상북도’를 비전으로 ▷주민과 함께하는 자치경찰 ▷지방행정과 연계한 자치경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자치경찰 ▷사회적 약자를 위한 맞춤형 자치경찰을 4대 과제로 설정했다.4대 과제와 더불어 ▷실종자 조기발견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 ▷학대․가정폭력 가해자 경찰단계 개입 프로그램 운영 ▷초등학교 주변 교통안전지도 만들기 등 자치경찰 사무 분야의 경북형 특수시책 16개 과제를 발굴해 정책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뒷받침했다.앞으로 경북자치경찰위원회에서는 최종 수정․보완하는 작업을 거쳐 이달 중순 연구 보고서를 확정하고, 경북형 치안행정 모델의 기본계획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이순동 경북도 자치경찰위원장은“자치경찰 시행 2년차가 되는 올해는 정책 중심의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야 할 때”라며, “경북형 자치경찰의 큰 그림이 완성된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하고 구체화 하는데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