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손중모 기자]포항시는 6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디지털트윈 시범 구역 조성 사업’의 협업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디지털트윈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수집과 활용 등 부서별 협업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디지털트윈이란 현실의 물건이나 공간을 디지털로 복제한 가상모형을 말한다. 실제 데이터를 가상모형에 반영해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대응하는 기술로 의료, 교통, 관광, 도시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앞서 지난 4월 포항시와 경북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디지털트윈 시범 구역 조성’ 공모사업 농어촌형에 최종 선정된 바 있다.이 사업은 포항 구룡포와 호미곶 일대를 시범 구역으로 선정해 오는 2026년까지 국비 141억 원 등 총사업비 227억 원을 투입해 ▲디지털트윈 통합플랫폼 구축 ▲국민 체감형 서비스 구축·연계 ▲디지털트윈 대표 수출 모델 조성 등 농어촌이 직면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전국 최초로 시도하는 사업이다.시는 올해 하반기 환경 분야 4종 디지털트윈 서비스 구축을 시작으로 향후 관광 및 안전 분야 등 총 12종의 시민 체감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환경 분야는 대기와 해양환경 변화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위기 상황을 예측하거나 신속하게 알려주는 서비스 등을 구축한다. 관광·안전 분야는 차량흐름, 유동 인구 패턴을 파악해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관광 서비스 기반을 제공하고, 항구 주변의 위험 상황을 예측해 안전사고 대응 서비스를 마련할 계획이다.권혁원 일자리경제국장은 “지역이 직면한 복잡한 사회문제를 디지털을 이용한 데이터에 기반, 과학적으로 접근·해결해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경쟁력 있는 디지털트윈 모델을 구축해 포항이 주도하는 디지털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