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사라지고 있다. 단순한 수치의 변화가 아니다.
사람의 이동이 지역을 무너뜨리고, 그로 인해 국가의 균형마저 위협받는 현실이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지역 인구 동향’에 따르면, 전국 시군구 중 85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그 대부분은 청년층의 대도시 유입으로 인한 인구 불균형 때문이다.청년들이 지방을 떠나는 이유는 명확하다. 교육, 일자리, 문화, 주거—모든 인프라가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학 진학과 취업을 위해 떠났던 청년들은 돌아오지 않는다. 그 결과 지방은 고령층만 남고, 출산과 소비는 급감하며 공동화가 가속되고 있다.이제는 단순한 지방 문제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청년층 유출은 국가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구조적 위기다.
국가 균형발전 전략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근본적 점검이 필요하다.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지역 뉴딜 정책 역시 단발성에 그쳐서는 안 된다.
정주 여건 개선과 함께 지역 고등교육 기관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청년이 머물 수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정치권 역시 각성해야 한다. 선거철에만 지방을 외치고, 정작 정책 우선순위에서는 수도권 중심의 이해에 휘둘린다면 지방은 계속 소외되고 말 것이다.
청년이 떠난 지역은 미래도 없다. 지방의 미래는 곧 국가의 미래임을 우리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