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이 소멸의 경계선에 서 있다. 통계청과 한국고용정보원이 밝힌 바에 따르면, 경북 23개 시·군 가운데 무려 20곳이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대구 역시 출생아 수는 2천 명대에 머무르고, 청년 유출이 멈추지 않으면서 `광역시`라는 이름조차 무색해지고 있다.
‘지방소멸’은 더 이상 개념적 경고가 아니라, 이미 진행 중인 구조적 현실이다.
문제는 이 위기에 대응하려는 전략과 실행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특히 경북은 고령화 속도가 전국 평균보다 빠르고, 산업기반도 빠르게 약화되고 있다.
영양, 청송, 울릉 등지의 경우 출산율과 인구유입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상황이다.
도심으로도 인구가 몰리지 않는다. 대구는 대기업 본사 이전과 청년층 유출로 인해 사실상 ‘공동화 현상’이 본격화되고 있다.
도심의 재건축·재개발은 느리고, 교육·일자리·문화 등 정주 여건 개선도 미진하다.
이대로라면 10~20년 안에 대구·경북의 절반 이상이 인구지도로부터 사라질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물론 중앙정부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더 시급한 것은 지역 스스로의 각성과 전략 변화다.
인구유입과 정주 인프라 확충은 단기 처방이 아니라 장기 비전이 필요한 문제다. 교육 여건을 대폭 개선하고, 청년층이 돌아올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마련하며, 지역대학과 기업을 연계한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공공 SOC만으로는 지역을 살릴 수 없다. 삶의 질을 끌어올리고, 문화와 교육, 복지에 투자하지 않는 한 청년과 가족은 돌아오지 않는다.정치권의 각성도 요구된다. 선거철만 되면 지역 균형발전, 지방분권을 외치지만, 선거가 끝나면 약속은 공중에 흩어진다.
지금이야말로 말이 아니라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구·경북의 위기를 막지 못한다면, 수도권 일극 체제는 더욱 강화되고 대한민국 전체가 퇴보하게 될 것이다.
지역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이 구호를 정치적 수사로 끝내선 안 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