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손중모기자] 홍석준 의원(국민의힘, 대구 달서구갑)은 26일 방송통신위원회 및 산하기관 종합감사에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KBS1 라디오가 외부인사들로 채워졌고, 대부분이 좌파성향이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얼마전 논란이 된 뉴스타파 김만배-신학림 허위 인터뷰 보도와 뉴스버스 이강길 전 대표 인터뷰 내용 허위 보도, 리포액트 최재경 허위 녹취록 조작 보도 등 허위조작 보도의 문제를 지적하며 자유민주주의 파괴를 위한 언론공작에 대한 방통위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홍석준 의원은 이동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게 “윤석열 정부는 좌나 우에 치우치지 않는 공정한 방송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문재인 정부 시기 대거 영입한 KBS1 라디오 진행자들의 편향성을 지적했다.홍 의원은 “2016년까지만 하더라도 KBS1 라디오 진행자들은 내부 아나운서나 내부 기자들이 하는 것이 원칙이었다”고 설명한 뒤, “그런데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2018년부터 외부인사들로 대부분 채워졌다”고 했다.그런데 “문제는 채워진 외부인사들을 살펴보면 전부 기라성 같은 좌파 인사들이 차지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KBS1 라디오가 민주당 정치인 아카데미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최강욱 전 의원과 김진애 전 의원도 포함되어 있다”고 했다. 이러한 KBS의 상황을 “완전히 기울어졌다고 본다”고 평가했다.이에 이동관 위원장은 “제시한 명단을 보니 정말 기라성 같은 분들이 전부 총망라되어 있는데 공영방송으로서 매우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더 나아가 “지금 밝히지도 않고 있지만 방통위에서 파악하고 있는 바로는 거액의 출연료를 지급하여 (방송사) 재정 악화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고, 이것이야말로 편파방송의 상징”이라고 답변했다.또한 홍 의원은 “KBS도 문제지만 방통위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공중파도 재허가를 통해서 심사가 이루어지는데, 방통위는 기존에 공정성 부분에서 이렇게 문제가 있는데 제대로 평가를 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는 방통위 재허가 심사과정에서 반드시 평가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과거처럼 KBS 내부에 역량이 있는 분들이 진행자로 발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홍 의원은 “최근 김의철 전 사장 해임 처분 관련 사건에서 집행정지 기각이 되었다”며 이는 “고대영 전 사장과 완전히 반대되는 결과”라고 했다. 이와 같은 결론이 나온 이유를 두고 “김 전 사장의 인사권 행사로 KBS의 주요 보직이 특정 집단에 편중되어 있고, 이로 인해 공영방송의 공정성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크게 저하될 위험성이 있다”고 밝혔다.이어 홍석준 의원은 신학림-김만배 허위인터뷰 보도로 문제가 된 뉴스타파 사건과 같은 허위조작 보도의 문제도 지적했다. “최근 가자지구 알아흘리 병원 폭발 사고로 수백 명 단위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을 두고 처음에는 이스라엘이 폭발을 했다고 보도를 했는데, 이후 알고 보니 팔레스타인이었다는, 즉 오보로 밝혀졌다”며 “이것이야말로 허위조작 보도가 어떻게 국가의 안위에 영향을 미치는가하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본다”고 했다.그러면서 “최근 뉴스타파 허위조작보도가 밝혀진 이후 검찰의 수사가 이어지면서 뉴스타파보다 더 심한 허위조작보도들이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뉴스버스’라는 매체에서 대장동 원개발자인 이강길 전 씨쎄븐 대표의 거짓 인터뷰라든지 ‘JTBC’에서 처음 보도된 ‘윤석열 커피’ 가짜 뉴스 보도, 인터넷 매체 ‘리포액트’에서는 최재경 검사장이 이야기하지도 않았다는 허위 녹취록 조작 같은 것들이 나오고 있다”고 했다.또한 “더 충격적인 것은 민주당 소속 김병욱 의원과 그 보좌관이 여기에 깊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은 대선 캠프에서 ‘윤석열 은폐수사 및 50억 클럽 진상규명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었다.홍 의원은 “이것은 정검언유착이라고 보고, 발본색원을 통해 다시는 이러한 허위조작뉴스로 인하여 국기문란을 막아야 하며 방통위의 역할이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이에 이 위원장은 “방통위는 파수꾼 역할을 하려 하고, 뉴스타파 보도와 같은 자칫하면 선거결과가 뒤바뀔 수도 있는 일들에 정치 논리를 끌어 들여와서 논란이 되는 것은 황당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또한 “근원적으로 이러한 긴급 상황에서 어떻게 막을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의식에서 신속 심의 구제 제도를 만드는 것”이라며, “재판이나 수사를 통해서 처벌하고 밝혀지는 데 몇 년 걸리는데 몇 년 뒤에 하면 뭐하냐”고 토로했다. “이런 문제에 여야가 어디있고, 진보·보수가 있는 일이냐”며 “지혜를 모아서 협조해주셔야지, 가짜뉴스 근거가 무엇이냐는 정치적 논란을 벌일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소회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