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박윤정 기자]경상북도는‘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변경계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지난 11일 포항시청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공청회에서는 道, 포항시, 경북테크노파크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 관계자와 특구사업자가 참석한 가운데 변경계획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변경계획안의 주요내용은 기업 간 인수합병으로 인한 특구사업자의 권한 및 지위승계(특구사업자 변경, 에스아이셀 → ㈜솔루엠)이다. 변경계획안은 경북도 홈페이지와 도보를 통해 공지되며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8까지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청취·반영해 확정된다.변경 대상인 에스아이셀은 배터리 특구 2세부(재사용) 사업 주관기업으로, 지난해 7월 임시허가 전환을 통해 사용 후 배터리를 적용한 태양광/전기차 충전기 연계용 ESS, UPS 등을 제작․판매해 사용후 배터리 ESS 시장에서 선도적인 기업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에스아이셀은 지난해 규제샌드박스 출범 2주년 성과보고회와 제1회 규제자유특구 챌리지에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대표기업으로 참여해 관계자들로부터 큰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그간 특구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성장한 에스아이셀은 국내 최고 ESL 핵심 역량과 자금력을 보유한 솔루엠*에 전략적 인수 합병됐다. 솔루엠은 관련 기술의 결합 및 투자로 본격적인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시장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이번 인수합병의 배경에는 경북도가 그간 포항에 추진한 환경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총사업비 488억원), 녹색융합클러스터 지정(올해 상반기),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센터(총사업비 310억) 등 배터리 리사이클링을 위한 최적의 인프라 구축이 한몫했다는 평가이다.한편, 이번 변경계획안은 7월 중 중소벤처기업부 관보로 고시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경북도는 공청회에서 제안된 내용과 주민의견을 사업계획에 반영해 지역주민들이 공감하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성장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장상길 경북도 과학산업국장은 “경북 차세대 배터리 특구는 전국 규제자유특구 중 가장 성공적인 모델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배터리 소재, 부품, 제조, 리사이클링 등 전분야에 걸쳐 기업이 투자하기 좋은 여건을 마련해 포항을 자원순환의 거점을 넘어 K-배터리를 이끌 선도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