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손중모 기자] 대구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분지 지형으로 알려져 있지만, 놀라운 것은 대구가 ‘분지’로 인식된 것이 불과 100년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바로 다무라 가즈히사가 1933년 집필한 `조선 향토지리의 실례 : 대구편`에서 ‘대구분지는 조선 남부 영남의 핵심으로 낙동강 중류로 흘러 들어가는 금호강과 그 지류인 신천(대구천)에 걸친 분지이다’고 기술하면서부터다.대구시가 조선 후기의 대구부 운영을 알 수 있는 사료`대구부사례`(310쪽)와 근대 지리학의 관점에서 대구를 최초로 연구한`조선 향토지리의 실례 : 대구편`(369쪽)의 번역본을 대구사료총서 3·4권으로 발간했다.대구사료총서 제3권`대구부사례`는 대구부에 부임하는 부사 및 부서의 실무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대구부의 관청별 재정 수입 및 지출 현황을 비롯해 중앙정부에 납입하는 재원의 현황을 항목별로 정리해 기록한 것이다.조선 후기 대구부 운영에 필요한 재정 조달 방법 및 중앙 정부에 납입하는 재원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상품이었던 당시 약령시의 약재 가격과 부채(절선)의 제작 비용 등 당시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도 주요한 자료가 된다.대구사료총서 제4권`조선 향토지리의 실례 : 대구편`은 처음으로 근대 서구 지리학의 관점에서 대구의 지형과 기후, 산업 등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저자인 다무라 가즈히사는 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현재 경북여자고등학교) 교사로, 이 책에는 1930년대 조선이 식민지가 된 지 한 세대가 지나 조선에 이주한 일본인들이 조선을 자신들의 ‘향토’로 인식하기 시작한 시대적 배경이 반영돼 있다.특히 대구의 지형을 처음 ‘분지’로 정의한 연구서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후 지금까지 대구의 지형을 ‘분지’ 지형으로 인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대구부사례`는 경북대학교 한문학과 정병호 교수가 번역하고 영남문헌연구원 인덕선 원장이 윤문했으며, `조선 향토지리의 실례 : 대구편`은 영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최범순 교수와 계명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김명수 교수가 공동번역하고,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정인성 교수가 감수했다.이재성 대구광역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대구사료총서는 한문이나 일본어 등 언어 문제로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대구 지역사 연구의 기초 사료를 번역해 연구자와 시민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작업이다”며, “여러 관점에서 대구 지역사를 연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책을 번역 출간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대구시는 2016년부터 과거 대구의 상황을 알 수 있는 한문·일본어 고서들을 매년 꾸준히 번역해 왔고, 지난해부터 그 결과물을 대구사료총서 시리즈로 발간하고 있다.대구사료총서는 대구 시내 공립도서관에 배부됐으며, 대구광역시 홈페이지(대구소개-역사-대구사료총서 또는 대구 전자책-행정/재정/세정-대구역사 https://www.daegu.go.kr/)에서 전자책으로 열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