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손중모기자] 장마전선이 다시 북상하면서 16일 오후부터 전국에 많은 비가 예고됐다.
특히 중부지방에는 시간당 50㎜ 안팎의 폭우가 예보돼 침수·산사태 등 피해가 우려된다.
부산과 울산, 경남도 장마 구름대의 남하 영향으로 30~80㎜가량 비가 내릴 것으로 보여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기상청은 15일 “수요일인 16일 오후부터 서쪽에서 다가오는 저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충돌하며 강한 비 구름대가 형성될 것”이라며 “이 구름대는 남서에서 북동 방향으로 길게 뻗으며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정체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16일 저녁부터 17일 아침 사이에는 경기 남부, 강원 남부, 충청권을 중심으로 시간당 30~50㎜에 이르는 장대비가 집중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북서쪽에서 유입되는 건조한 찬 공기와 남동쪽에서 밀려드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격렬하게 충돌하면서 좁고 긴 형태의 정체전선성 구름대가 형성될 것”이라며 “이 구름대가 정체한 지역에는 ‘물폭탄’에 준하는 강우가 쏟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이번 비로 인해 1617일 예상 강수량은 경기 남부와 충남 서해안에 최대 200㎜ 이상, 수도권과 충청 지역은 50150㎜, 강원 내륙·산지와 충북은 최대 150㎜ 이상의 비가 예보됐다.
전북도 30~100㎜, 북서부 지역은 최대 150㎜에 이를 전망이다. 부산·울산·경남지역에도 3080㎜의 비가 예고돼 있다.
광주·전남, 대구, 경북 내륙 등도 1060㎜, 전남 북부 서해안은 최대 80㎜ 이상의 강수가 예상된다. 제주와 동해안, 울릉도·독도에도 5~40㎜의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기상청은 “이번 비는 토요일인 19일까지 이어지겠으며, 이후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다시 확장하면서 전국적으로 폭염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르면 20일부터는 낮 기온이 급상승하면서 무더위가 이어지고, 국지성 소나기도 빈발할 것으로 예측했다.앞서 이달 초 북태평양 고기압이 장마 전선을 북서쪽으로 밀어내면서 제주와 남부지방은 장마 영향권에서 잠시 벗어난 바 있다.
그러나 중부지방은 북한 지역에 머문 정체전선 영향권에 계속 놓일 가능성이 높아, 한동안 불안정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기상청 관계자는 “정체전선이 형성하는 강한 구름대의 영향으로 갑작스러운 호우가 발생할 수 있다”며 “침수 위험 지역이나 산간 지역 주민은 기상 정보에 귀를 기울이고, 지자체의 안내에 따라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