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이종환기자] 경산시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사업장 위험성 평가체계 마련에 본격 착수했다.시는 18일 시청 소회의실에서 ‘2025 경산시 사업장 위험성평가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시 소유 전체 사업장을 대상으로 추진된 용역 결과를 공유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윤희란 부시장을 비롯해 건설안전국장, 안전총괄과장, 회계과장, 체육진흥과장 등 10여 명의 관련 부서장이 참석했다.이번 용역은 산업재해 예방 및 중대재해처벌법 준수를 위한 선제 조치로, 오는 2025년 6월부터 3개월간 시행된다.    시가 관리하는 사무·청사부터 고위험 작업장까지 전 사업장을 아우르며, 위험요소 식별, 평가 표준안 마련, 안전·보건 관리 체계 구축 등을 골자로 진행됐다.특히 2024년 12월 개정된 고용노동부 고시(제2024-76호)를 반영해 건설기계 운용, 밀폐공간 작업, 화학물질 취급 등 고위험 사업장을 중심으로 현장 중심의 ‘위험성평가’가 시행됐다. 이 과정에서 ▲종사자 의견 청취 ▲현장 유해·위해요인 확인 ▲위험성 평가 및 결정 ▲감소 대책 수립 등 단계별 절차가 적용됐으며,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 정립이 함께 이뤄졌다. 일반 사업장과 청사에 대해서도 업종별 위험성 평가 표준안 마련과 컨설팅·교육이 병행돼, 각 부서가 자체적인 평가체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시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정기적 위험성 평가와 반기별 점검 체계를 도입하고, 전 직원이 참여하는 자율 안전관리 시스템을 정착시킨다는 방침이다.윤희란 부시장은 “이번 용역은 단순한 진단에 그치지 않고, 실제 위험 요인을 구성원 스스로 인식하고 개선하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며 “앞으로 법적 의무를 넘어 사고 이전에 예방이 이뤄지는 안전행정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