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도 지역을 비롯한 곳곳에서 폭우 이후 해충이 급증하면서 주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
하수구와 축사 주변에서 벌레가 들끓고, 악취까지 겹치며 감염병 우려가 제기됐다.
다행히도 지자체가 방역차를 긴급 투입하면서 상황은 빠르게 진정되고 있지만, 이번 사태는 ‘예방’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계기가 됐다.기후 변화로 인해 국지성 폭우와 고온다습한 날씨가 반복되면서 해충과 병해충 발생 주기와 양상이 과거와 달라지고 있다.
특히 농촌 지역은 주거지와 축사, 배수로 등이 밀집돼 있어 전염병 확산의 위험이 크다.
그럼에도 여전히 많은 기초자치단체는 재해 발생 후 ‘수습 위주’에 치우쳐 있는 게 현실이다.
악취나 위생 문제로 주민 고통이 커질 때에서야 방역 차량이 급히 투입되고, 장비와 인력이 부족해 일시적 대응에 그치는 사례도 적지 않다.방역은 단발성 조치로 끝나선 안 된다. 평상시부터 위험 요인을 점검하고, 재난 발생 시 곧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마을 단위 방역 지도, 축산 농가 위생 상태 점검, 하수구 및 배수 시설 정비 등이 사전에 이뤄져야 하며, 인력과 장비 역시 제때 투입될 수 있도록 예산과 조직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또한 이번처럼 주민이 “방역차가 돌고 나니 안심된다”고 말할 정도라면, 평소 공공기관의 방역 존재감이 그만큼 약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보이지 않는 행정은 신뢰를 줄 수 없다. 방역 활동은 주민과의 ‘신뢰 형성’이라는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가시화해야 한다.‘자연재해는 예고 없이 찾아온다’는 말은 더 이상 수사가 아니다. 예보는 정교해지고 있지만, 실제 피해는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인력과 장비, 예산은 선제적으로 운영돼야 한다. 피해 이후의 ‘수습’보다 피해 이전의 ‘예방’에 더 힘을 실어야 할 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