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끝나자마자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되면서 생활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채소, 과일을 중심으로 한 농산물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는 데다 국제 유가와 곡물가까지 다시 불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하며 석 달 만에 다시 상승폭이 확대됐다.    특히 신선식품지수는 4.5%나 올라 서민 체감 물가는 이보다 더한 수준이다. 여기에 전기요금과 수도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여파까지 겹치며 여름철 가계 부담이 커지고 있다.물가 상승은 통상적인 경기 회복 국면에서는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다.    그러나 지금처럼 실질소득은 제자리걸음을 하고, 내수도 둔화된 상황에서의 물가 불안은 곧바로 민생 위기로 직결된다.    특히 취약계층과 고정소득자들에게는 생존의 문제다. 정부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힌 것은 타당하지만,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하다.    예컨대 농산물 수급 조절이나 에너지 가격 안정 등 공급 측 대응이 여전히 뒤따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한국은행은 여전히 기준금리를 동결 중이다. 그러나 미국 연준(Fed)이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통화정책 여력도 제한적이다.    결국 정부가 할 수 있는 것은 재정의 효율성과 행정력의 집중이다. 물가 불안을 핑계로 다시 무차별적인 세금 투입이나 단기적 생색내기식 정책으로 회귀해서는 안 된다.    농축수산물 수급체계의 선진화, 공공요금 인상 요인의 사전 점검, 에너지 수입 다변화 같은 중장기적 접근이 병행돼야 한다.지금의 물가 흐름은 단지 숫자의 문제가 아니다. 국민들이 체감하는 삶의 무게와 직결되는 본질적 문제다.    물가 안정 없이 경제 회복도, 민생 안정도 있을 수 없다. 정부는 정책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민생 현장에서 작동하는 정밀한 물가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