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통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연일 35도를 웃도는 폭염에 체감온도는 38도를 넘나들고 있으며, 대구·경북 지역 곳곳에서는 온열질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와 취약계층이 밀집한 농촌·도심지 낙후지역은 폭염이 곧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온다.
기후위기의 일상이 된 지금, 폭염은 단순한 계절적 불편이 아닌 하나의 ‘재난’이다.대구·경북은 원래 ‘덥기로 유명한 지역’이지만, 올해의 양상은 단순한 계절적 특성을 넘어선다.
도시 열섬 현상, 고령화율 증가, 기후변화로 인한 열파 일수 증가 등 복합적 문제가 얽혀 있다.
문제는 이에 대응하는 행정·경제 시스템이 여전히 ‘임시처방’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점이다.지자체와 공공기관, 기업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생수와 냉방용품을 나누고, 무더위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실효성은 제한적이다.
냉방비를 아껴야 하는 독거노인, 쉼터까지 이동이 어려운 교통취약 계층 등 실질적 도움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
이제는 단순한 물품 지원을 넘어서, 폭염 대응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접근해야 할 때다.먼저, 기초지자체 단위에서 ‘폭염 대응 전담 TF’를 상시화해 무더위 취약지역을 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고, 폭염 대비 인프라(그늘막, 냉방쉼터, 단열개선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기업과 농협, 자원봉사단체 등 지역 기반 조직이 ‘더위 돌봄 네트워크’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협력 구조를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더 나아가 폭염으로 인한 전기요금 부담, 농작물 피해, 일자리 손실 등에 대한 경제적 보상과 보험 시스템도 제도화해야 한다.
폭염은 더 이상 개인의 인내력으로 버텨야 할 문제가 아니라, 행정과 시장이 함께 대응해야 할 집단 위험이다.더위는 자연현상이지만, 그 피해는 사회구조적이다. 대구·경북이 폭염을 견디는 도시가 아니라, 폭염을 ‘관리하는 지역’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지금의 방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선제적 대응 체계가 필요하다.
‘폭염 대응’은 곧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험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