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문제가 좀처럼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5%를 기록했다.
체감 실업률은 이보다 두 배 가까이 높다는 분석도 있다. 이는 단순히 일자리 수가 부족해서가 아니다.
일자리와 구직자의 ‘미스매치’—즉, 노동시장 불일치 현상이 점점 고착화되고 있는 점이 더 큰 문제다.실제로 중소기업들은 일할 사람이 없다고 아우성이고,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하소연한다.
구인난과 구직난이 동시에 발생하는 기현상이다. 이는 단순히 일자리의 ‘숫자’ 문제라기보다, 일자리의 ‘질’과 ‘기대수준’의 괴리에서 비롯된 구조적 병목이라 할 수 있다.이른바 `좋은 일자리`를 찾는 청년들과, 상대적으로 열악한 근무환경이나 임금 조건을 개선하지 못한 중소기업 사이의 간극은 좁혀지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대졸자들은 스펙을 더 쌓기 위해 취업을 늦추고, 기업은 인력 부족으로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이는 국가 경쟁력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정부는 청년고용 정책에 연간 수조 원을 투입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제한적이다.
단기 인턴이나 공공일자리에 국한된 일시적 해법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로 이어지기 어렵다.
수요자(기업)와 공급자(청년)의 눈높이를 맞추는 정교한 정책 설계가 절실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일자리의 질을 높이고, 경직된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하며, 직무 중심의 경력 개발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고졸자와 비전공자도 기술 기반 중견기업에서 커리어를 쌓을 수 있도록 직무 중심 채용을 확산하고, 지역 대학·직업교육기관과 기업 간 연계를 강화하는 방식이 주목된다.
‘청년은 수도권으로, 기업은 지방으로’ 쏠리는 흐름을 해소하지 않고는 미스매치도 해소될 수 없다.
지방 청년을 위한 교통·주거·문화 인프라 확충 등도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청년실업 문제는 단순한 고용 통계의 문제가 아니라, 미래 세대의 삶과 국가 성장의 지속가능성을 가르는 핵심 이슈다.
더는 땜질식 처방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정부, 기업, 교육기관이 실질적인 구조개혁과 협업에 나서야 할 때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