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국회가 시작됐지만 정치권은 또다시 정쟁의 수렁에 빠져 민생 현안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여야는 연일 상임위와 본회의를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며 상대방 책임론에만 몰두하고 있다.    전기요금 인상, 청년 실업, 지방소멸 등 시급한 과제들이 산적해 있음에도 정치권의 관심은 오로지 권력투쟁과 내년 총선 계산에 쏠려 있다.특히 최근 논란이 된 방송법 개정안과 관련한 충돌은 국민적 피로감을 한층 가중시키고 있다.    여당은 “공정성 회복”을 내세우지만 일각에서는 정치적 보복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야   당 역시 반대를 위한 반대만 반복하며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국민뿐이다.더 심각한 문제는 지역과 계층 간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치가 이를 조율하지 못하고 오히려 부추기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발표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방 청년의 수도권 유출은 계속되고 있고, 자영업 폐업률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여야 어느 쪽도 이런 구조적 문제에 대해 책임 있게 해법을 제시하지 않는다.정치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지 갈등을 키우는 장이 아니다.    여야는 더 이상 정쟁에 매몰되지 말고, 민생이라는 공동의 책임 앞에 성숙한 자세로 돌아서야 한다.    국민은 정치를 통해 삶이 나아지길 기대한다. 그 기대를 외면한 정치는 존재 이유를 상실하게 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