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물가는 내릴 기미가 없고, 금리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장바구니 물가가 오른 지 오래다. 전·월세, 공공요금까지 줄줄이 인상되며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자영업자는 매출 부진과 대출이자 부담에 이중고를 호소한다.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실질 대책이 절실하다.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1%로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
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요동치고 이상기후로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고 있지만,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고려하면 당분간 금리 인하를 기대하기 어렵다.이러한 경제 환경은 서민층에 집중 타격을 준다. 대출 의존도가 높은 자영업자, 청년, 저소득 가구는 금리 부담으로 소비를 줄이고 있다.
소비 위축은 다시 내수 부진을 불러 경기 회복을 늦추는 악순환을 만든다. 하반기 전세대란 우려까지 겹쳐 주거 불안도 심각해지고 있다.정부는 손을 놓고 있을 때가 아니다. 금리 정책은 한국은행의 몫이라 하더라도 민생 안정 대책은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금융 지원, 농축산물 수급 조정, 유통구조 개선 등 가시적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 자영업자 대상 금융지원의 문턱도 낮출 필요가 있다.민생은 통계가 아닌 현장의 목소리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국민이 느끼는 체감경기와 정책 사이의 간극을 줄여야 한다.
정부와 정치권은 국가 재정만 따지지 말고 국민 생활부터 챙기는 실질적 정책을 내놔야 한다.
고물가·고금리의 긴 터널에서 국민이 버틸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