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손중모기자] 국내 자동차 산업의 대미 수출 관세 우위가 사라지면서 지역 기반 산업과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된 413만 대의 차량 가운데 278만 대가 수출됐으며, 이 중 143만 대가 미국으로 향했다.    전체 자동차 수출 중 대미 비중은 48.3%에 달하며, 부품 수출은 36.5%를 차지한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지난해 대미 무역수지 흑자의 70.7%를 책임지며 ‘효자 품목’ 역할을 해왔다.하지만 최근 한미 상호관세 협상으로 완성차 대미 관세가 기존 2.5%에서 15%로 상향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그동안 한미 FTA를 통해 무관세 혜택을 누리던 국내 자동차는 일본·EU와 비교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왔으나, 이번 조치로 FTA 우위가 사라졌다.이인선 국회의원(국민의힘·대구 수성구을)은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완성차 생산의 40%가 울산·부산·창원에 집중돼 있고, 자동차 부품은 부산·경남·대구·경북에서 절반 가까이를 생산한다”며 “대미 관세 15%는 지역 경제와 일자리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이 의원은 “대기업은 손실을 벤더사에 전가하거나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릴 수 있지만, 영세 협력사들은 버티기 어렵다”며 “현대차는 한국산 차량의 57%를 미국에 수출하고 있지만, 일본 도요타는 25%, 혼다는 1%만 수출하고 나머지는 현지 생산한다.    대기업이 ‘미국행’을 늘리면 지역 협력사만 고스란히 피해를 볼 것”이라고 강하게 질타했다.이에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FTA 체결국으로서 차별성을 인정받아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으나 관철시키지 못한 점은 송구하다”며 고개를 숙였다. 이어 “정부는 피해 대책을 마련하고 부품업체와 소통을 강화하겠다. 또 AI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자동차 개발 지원을 통해 경쟁력으로 파고를 넘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