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청년층 이탈이 멈추지 않고 있다.    인구이동 자료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대구에서는 20대 인구 1만 2,400여 명이 순유출됐고, 경북에서도 9,300여 명의 청년이 지역을 떠났다.    지역 대학을 졸업한 뒤에도 정작 일자리는 지역에 없는 현실 때문이다. ‘좋은 일자리를 위해선 결국 수도권행’이라는 청년들의 체념이 지역 공동체를 무너뜨리고 있다.실제로 2025년 1분기 기준 대구의 청년(15~29세) 실업률은 8.9%, 경북은 9.4%로 전국 평균(7.7%)보다 높다.    표면적 수치보다 더 심각한 것은 ‘확장실업률’이다. 이는 취업 의사는 있지만 시험 준비, 아르바이트, 단기직 등으로 인해 구직활동을 중단한 청년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대구의 청년 체감실업률은 23.1%, 경북은 21.8%에 달하며, 전국 평균(21.5%)을 상회한다.특히 청년 고용의 질도 문제다. 대구·경북 청년층 고용의 약 64%가 비정규직, 단기계약, 단순노무직 등 저임금 일자리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대구 청년층의 월평균 임금은 2024년 기준 약 199만 원, 경북은 195만 원으로 수도권(서울 기준 248만 원)보다 20% 이상 낮은 수준이다.    임금 격차와 직무 미스매치는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어렵게 만드는 주된 요인이다.이처럼 청년실업은 단순한 고용 문제가 아니다. 지방소멸과 지역경제 위축을 가속하는 심각한 구조적 위기다.    경북의 군 단위 23개 지자체 중 무려 16곳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으며, 대구 역시 청년층의 급감으로 도시 활력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청년이 머무르지 않는 도시에 지속가능한 미래는 없다.그럼에도 정부와 지자체의 대책은 여전히 단편적이다. 일자리 카페, 취업지원센터, 청년인턴 사업 등은 단기적 효과에 그치고 있다.    예산은 흘러가지만, 청년들의 체감은 여전히 ‘그들만의 정책’이다. 정작 청년의 눈높이에서, 청년의 삶 속에서 고민한 정책은 보이지 않는다.지금이 구조적 전환의 마지막 기회다. 대구의 의료·ICT, 경북의 농식품·2차전지 산업 등 지역 강점 산업을 기반으로 청년 맞춤형 훈련과 고용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에게 주거·교통·복지 전방위 인센티브를 과감하게 제공하고, 지방대학과 연계한 지역정착형 고용 트랙도 확대해야 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청년은 지방의 미래”라는 구호를 정책으로 입증해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