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손중모기자] 균형발전이란 지방을 서울처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지역 고유의 특성과 정체성이 살아 있는 공간으로 키우는 일이다. 그러나 현재 많은 지자체는 ‘도시처럼 보이기’에 집중하며 본래의 색을 잃고 있다.    영덕군 역시 관광거점 개발과 도시 기능 확장에 집중하면서 지역 고유의 문화와 삶의 방식이 희미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북도민방송은 3회차에서는 도시화 중심의 개발 패턴 속에서 흔들리는 ‘지방다움’의 본질과 그 회복 가능성을 살펴본다.<편집자주>도시화의 그늘 속에 묻힌 공동체, 사라지는 전통…영덕이 선택해야 할 길은?   “카페도 많아지고 간판도 세련돼졌죠. 그런데 마을에서 느껴지던 옛 정취는 이젠 거의 남아 있지 않아요.” 영덕군 강구면 강구항 인근에서 해설사로 활동 중인 박모 씨(58)는 최근 몇 년간 강구항을 중심으로 펼쳐진 관광 거점 조성사업과 도시재생 사업의 변화를 이렇게 표현했다. 해안 경관을 따라 설치된 데크 산책로, 깔끔한 벽화 골목, 프랜차이즈 카페와 수제 맥주 펍이 들어선 해변변 상가들은 분명 도시 관광객의 눈길을 끌 만한 변화였지만, 정작 지역 주민들에게는 그 변화가 ‘낯설음’으로 다가오고 있었다. 영덕군은 현재 ‘복합 해양문화도시’ 조성을 목표로, 강구항 일대를 중심으로 한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과 상업지구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군은 이 사업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체류형 관광 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지역의 도시 기능을 일정 수준 확보해야 지속적인 인구 유입과 소비가 가능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하지만 도시화의 외형을 갖추는 과정에서 오히려 지역의 고유한 생활문화, 공동체 구조, 전통 경관은 점차 설 자리를 잃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군민 일부는 “도시의 흉내를 내기보다 우리 식당, 우리 공방, 우리 바다의 이야기를 살릴 수 있는 방향이 더 지속가능하지 않겠느냐”며 “지금처럼 서울을 따라가려는 방식으로는 차별성도, 경쟁력도 만들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강구항 원도심 내 전통 포구 상권은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임대료가 상승하면서 소상공인의 이탈이 발생하고 있고, 어촌계 일부는 “개발 이후에 삶은 더 팍팍해졌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광열 영덕군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지방 소멸의 위기를 이겨내기 위해선 지역 정체성과 공동체의 힘이 바탕이 돼야 하며, 도시처럼 보이는 것보다 영덕답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의 행정은 주민 주도의 마을 만들기, 고유문화 보존, 자연친화적 개발을 중심으로 지역 고유의 삶을 지키고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전했다.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구호는 단지 지방의 생존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이 지방답게 살아남을 때 국가 전체가 건강해진다는 원리를 의미한다. 영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서울을 닮는 것이 아니라, 영덕다움을 되찾고 지키는 일이라는 점에서, 지금 이 지역에 필요한 것은 더 많은 구조물보다 더 많은 관계와 기억, 그리고 삶의 공간을 회복하는 일일 것이다. 김광열 군수는 “지방 소멸이라는 위기 속에서 영덕만의 정체성과 문화가 살아 있어야 진정한 지역 발전이 가능하다”며 “도시화나 외형적 개발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 공동체와 삶의 방식, 고유한 가치가 유지되는 ‘살고 싶은 영덕’을 만드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의 정책은 지역의 전통과 문화, 자연환경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공간 구조로 전환하고, 주민 주도의 마을 만들기를 통해 영덕답게 발전하는 균형 전략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