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민방송=손중모기자]경북 서남부, 낙동강을 품은 땅 고령은 한때 대가야 왕국의 심장부였고, 지금은 인구 소멸 위기와 고령화라는 이중고에 맞서 싸우고 있다.  전국 지자체들이 생존 경쟁에 돌입한 오늘, 고령군은 ‘작지만 강한 군’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실험 중이다.  경북도민방송은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기획의 일환으로 고령군의 현실과 실험, 그리고 미래를 3회에 걸쳐 심층 조명한다. 농촌이 무너지면 군은 설 자리를 잃는다. 농업은 단순한 산업을 넘어 지역의 생명선이다.  고령군은 청년농업인 육성과 스마트팜, 귀농정착 지원을 통해 ‘살아 있는 농촌’을 되살리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마지막 회에서는 농촌을 지키려는 고령군의 미래 전략을 따라가 본다.<편집자주>         ◆스마트농업과 귀농정책으로 위기 돌파… ‘작은 농촌’의 혁신이 시작됐다 경북 고령군 다산면의 한 시설하우스. 30대 청년 농업인 김도훈 씨는 이곳에서 스마트폰으로 온도·습도·수분량을 조절하며 토마토를 재배한다. 과거엔 손발로 했던 일을 이제는 ICT 기반 자동화 시스템이 대신한다. “처음엔 막막했죠. 그런데 군에서 창업자금 지원도 해주고, 작목지도까지 해주니까 자리 잡을 수 있었어요.” 김 씨처럼 고령군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 청년 농부는 2024년 기준 40명을 넘어섰다.    이들은 고령 농촌의 변화를 이끄는 가장 선두에 서 있다.         ◆고령군, 청년농업인 육성에 사활 걸다 고령군은 2022년부터 ‘청년창업농 영농정착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했다. 귀농 후 5년 이내 청년에게 매달 정착지원금(최대 100만 원)과 농기계 구입비, 영농교육 등을 지원하는 이 제도는 고령군이 자체 예산까지 매칭해 추진 중이다. 청년들의 농촌 정착을 위해 군은 ‘농업인력은행’도 운영 중이다. 고령 내 은퇴 농가와 청년 예비농업인을 연결해 농지, 기술, 노하우를 자연스럽게 이전하는 시스템이다.       ◆스마트팜·고령화 대응… 미래농업 실험 가동 고령군의 농업은 이미 ‘디지털 전환기’를 지나고 있다. ‘스마트농업 시범지구’로 지정된 덕곡면 일대는 자동제어 하우스, 센서 기반 생육관리, 드론 방제 등 미래농업 기술이 집중 투입되고 있다. 특히 고령군은 ‘고령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를 설립해 매년 10여 명의 창업농을 교육·실습·창업으로 이어주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2024년까지 총 38명이 이 과정을 거쳐 지역에 정착했다. 이 외에도 농작업 기계화, 농산물 공동선별 및 온라인 유통 채널 확보 등을 통해 고령화에 대응하는 농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귀농·귀촌, 마을 단위 ‘공동체 정착’으로   고령군의 또 다른 실험은 ‘공동체 기반 귀농정책’이다. 단독 전입보다는 소규모 커뮤니티 단위로 정착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마을 내 빈집을 리모델링해 2~3가구가 함께 들어올 수 있도록 했다. 예비 귀농인을 위한 ‘고령살이 체험’, 은퇴자를 위한 농촌 전환캠프도 연중 진행된다.    고령읍 외곽의 봉곡리에서는 귀촌자와 토박이 주민이 함께 마을기업을 만들어 지역농산물을 가공·판매하며 ‘함께 사는 농촌’을 실천하고 있다.       ◆“농촌이 무너지면 지방도 없다” 고령군 전체 인구 중 약 60%가 농촌 지역에 살고 있다. 군은 농업을 단순한 산업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를 유지하는 최전선으로 보고 정책 우선순위를 농촌에 두고 있다. 이남철 고령군수는 “농촌이 살아야 군이 살고, 군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며“청년이 돌아오고 기술이 스며드는 고령 농촌이야말로 우리 지역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고령군의 농업 정책은 ‘지원’이 아닌 ‘전환’에 방점이 찍혀 있다. 청년, 기술, 공동체라는 세 축으로 고령 농촌은 지금, 조용한 반란을 시작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