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정치권은 연일 대립과 갈등의 소용돌이에 빠져 있다.    정쟁은 민생을 뒤로 한 채, 여야의 공방과 상호 불신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가 직면한 가장 근본적인 과제는 정치적 유불리가 아니라,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라는 거대한 구조적 문제다.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228개 기초자치단체 중 절반 이상이 소멸 위험에 놓여 있으며, 특히 경북·전남·강원 등 농산어촌 지역은 이미 한계 상황을 맞이했다.    인구가 줄고 경제 기반이 약화되면 교육·의료·교통 등 필수 서비스도 유지되기 어렵다.    이는 단순히 지방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존립의 문제다.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이 과밀하게 집중된 현실에서, 지방의 붕괴는 곧 대한민국의 균형을 잃게 만들기 때문이다.따라서 정치권은 하루빨리 소모적 논쟁에서 벗어나 지방 소멸 대책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지방 대학과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청년들이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산업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    또한 지방 정부의 자율성을 높여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을 펼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균형 발전은 단순히 돈을 나눠주는 차원이 아니다. 혁신과 창의, 그리고 공정한 기회 배분이 동반되어야 한다.    정치권은 이제라도 정쟁을 멈추고, 국민의 삶과 미래를 지키는 데 협력해야 한다.    갈등을 넘어, 나라 전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결단이 필요한 때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