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경제가 장기 침체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역 내 총생산(GRDP) 증가율은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으며,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산업 구조는 경기 변동에 취약하다. ]
한때 섬유·금속·자동차 부품으로 성장의 동력을 삼았지만,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술 변화 속에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은 지역 경제의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일자리와 성장 기회가 부족하니 인재는 떠나고, 기업은 다시 투자를 꺼린다.
이 악순환을 끊지 못한다면 ‘지방 소멸’ 위기는 현실이 될 수밖에 없다. 단순히 중앙정부 지원금에 기대어 버티는 방식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어렵다.이제 지역경제의 체질을 바꾸는 과감한 선택이 필요하다. 전통 제조업 의존에서 벗어나 미래차, 배터리, 로봇, 바이오 등 신산업 생태계를 적극 육성해야 한다.
동시에 대구·경북이 강점을 지닌 의료·문화·관광 자원을 활용해 서비스 산업을 고도화하는 전략도 병행돼야 한다.지역 스스로 혁신 의지를 갖는 것도 중요하다. 지자체는 단기 성과에 집착하기보다 장기 비전과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대학과 연구기관은 지역 기업과 연계해 인재 양성에 나서야 한다.
또한 중앙정부는 권한과 재정을 과감히 분산해 지역이 스스로 경쟁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지역경제는 단순한 지방 문제를 넘어 국가 균형 발전의 핵심이다.
수도권 일극 체제를 완화하고, 지역이 자생적 성장 동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대한민국 전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지금이야말로 대구·경북 경제가 체질 개선의 골든타임임을 직시해야 한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